☞ 2판 1쇄 발행 2016년 8월 30일
l 머 리 말 l
교육은 사람들 간에 이루어지는 행위이다. 즉, 교육은 사회 속에서 이루어지는 행위이다. 공통의 이해를 바탕으로 한 사람들의 집합체의 표현이 바로 사회이기 때문이다. 이에 사회 그 안에 교육이 있고 그 안에 사람들의 대화가 있다. 결과적으로 교육과 사회는 떼려야 뗄 수 없는 관계이다. 교육사회학은 교육과 사회와의 관계를 살펴보는 학문으로 교육학과 사회학이 융합된 학문이다. 교육사회학은 사람을 중심으로 하여 개인과 집단 간의 의미를 탐색한다. 다시 말해 사람과 사람 사이, 사람과 집단 사이, 집단과 집단 사이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학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교육사회학은 전통적으로 네 가지를 계속적으로 질문해 왔다. 첫째, 교육은 어떠한 사회적 맥락에서 시작되었으며, 어떻게 유지되고 변화되어 왔는가? 둘째, 교육을 통한 사회의 개선이 가능한가? 셋째, 교육이 얼마나 공정하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넷째, 교육에 관련된 집단들이 어떤 사회적 관계를 맺고 있는가?이다. 이러한 일련의 질문을 제기하고 이를 탐구하려고 노력해 온 교육사회학은 “사회적 현상 혹은 사실로서의 교육 및 교육제도를 과학적․역사적으로 연구하고, 이에 기초해서 인간화, 평등화, 능률화 등의 가치판단 또는 평가를 하는 학문”이라고 표현할 수 있다.
그러나 교육사회학과 관련한 질문과 탐색은 쉽게 이해하기 쉬운 것은 아니다. 이에 저자들은 이 책에서 교육사회학의 이론과 현상, 해결책을 누구나 쉽게 읽고, 이해하여 앎의 지평을 확대하기 쉽도록 간결하고 평이한 문장으로 저술하고자 노력하였다. 즉, 교육사회학을 전공하는 학생, 교원 자격증을 취득하고자 하는 예비교사, 교육기관에 근무하는 현장실무자 등이 교육사회학의 기본적 이론을 이해하는 바탕으로 교육과 사회의 관계를 종합적으로 통찰할 수 있는 역량 함양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각 장마다 주요 용어와 학습목표를 제시하여 무엇을 학습할 것인지 예고하였고 학습방향을 제시하였다. 또한 각 장의 끝 부분에 토의거리를 제시하여 심화 및 보충학습을 위한 기회를 제공하였다.
이 책에서 다루는 교육사회학의 구체적인 내용은 총 III부 14장으로 구성되었다. I부의 1장부터 4장은 사회학적 패러다임과 교육과의 관계, II부의 5장부터 12장까지는 현실 속에서의 교육과 사회의 관계, III부의 13장부터 14장까지는 4차 산업혁명시대에 학교 교육의 한계를 지적하고 대안을 제시하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평생교육을 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장을 살피면 다음과 같다. 1장은 교육의 사회적 이해, 2장은 기능이론, 3장은 갈등이론, 4장은 학교문제 연구방법론, 5장은 사회변동과 교육, 6장은 사회불평등과 교육, 7장은 계층 간 교육 격차, 8장은 지역 간 교육불균형, 9장은 교과과정 속의 교육불평등, 10장은 교사-학생의 상호작용과 학업성취 격차, 11장은 교육과정에서의 성별불평등, 12장은 다문화교육, 13장은 사회변화와 평생교육의 대두, 14장은 한국교육사회학의 미래 전망과 과제로 구성되었다.
책을 쓰고자 했던 초기의 의도와 달리 저자들의 능력의 한계와 시간 부족으로 인해 부족하고 미흡한 부분들이 적지 않아 아쉬움 또한 많은 것이 사실이다. 저자들은 이러한 부분들을 동료 연구자들과 선후배들의 조언을 바탕으로 향후 꾸준히 수정․보완해 나갈 것을 약속한다. 끝으로 출판계의 어려운 현실에도 불구하고 이 책의 출판을 허락해 주신 양서원 회장님과 도와주신 여러분께 깊은 감사를 드린다.
2016년 7월
저자 일동
l 차 례 l
제Ⅰ부 사회학적 패러다임과 교육과의 관계
1장 교육의 사회적 이해 11
1. 교육과 사회에 대한 이해 12
2. 교육사회학의 탐구내용 18
3. 교육사회학의 주요 이론 19
4. 교육의 사회적 기능 23
2장 기능이론 29
1. 기능의 개념 30
2. 기능이론의 기원 31
3. 기능이론의 주요 개념 32
4. 대표적인 학자와 논의 34
5. 기능이론의 교육에 관한 논의 41
3장 갈등이론 45
1. 갈등의 개념 46
2. 갈등이론의 기원 47
3. 갈등이론의 주요 개념 48
4. 대표적인 학자와 이론 49
5. 갈등이론의 교육에 관한 논의 59
4장 학교문제 연구방법론 65
1. 해석학적 이론 66
2. 신교육사회학 73
제Ⅱ부 교육과 사회의 관계
5장 사회변동과 교육 81
1. 사회변동의 의미: 변화와 변동 82
2. 사회변동의 성격 83
3. 사회변동의 원인 85
4. 사회변동이론 87
5. 사회변화와 교육 90
6장 사회불평등과 교육 93
1. 사회불평등 94
2. 교육불평등과 이론 107
7장 계층 간 교육 격차 121
1. 계층 122
2. 교육 격차 126
3. 독일 교육복지의 개념 134
4. 교육 격차 사례와 사회통합을 위한 교육정책 139
5. 외국의 교육복지정책 사례 145
8장 지역 간 교육불균형 151
1. 지역 152
2. 지역 간 교육불균형 158
3. 농산어촌 연중 돌봄학교, 전원학교 사업 추진 166
9장 교과과정 속의 교육불평등 179
1. 교육기회 분배 상황 및 측정 180
2. 교육기회 분배의 결정요인 183
3. 교육평등론의 전개 184
10장 교사-학생의 상호작용과 학업성취 격차 193
1. 학업성취의 격차 194
2. 학업성취에 대한 사회적 논쟁 195
3. 학업성취 결정요인 196
11장 교육과정에서의 성별불평등 207
1. 교육의 기능 208
2. 성역할의 사회화 211
3. 교육현장에서의 성별불평등 215
4. 성별불평등의 극복: 양성평등교육 219
5. 요약 223
12장 다문화교육 227
1. 다문화사회로의 진입 228
2. 다문화사회의 문제 230
3. 한국 다문화주의와 다문화교육의 특징 235
4. 결론 248
제Ⅲ부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한 평생교육
13장 사회변화와 평생교육의 대두 253
1. 평생교육의 등장 254
2. 평생교육의 개념 및 이념 258
3. 평생교육의 유사 개념 260
4. 평생교육의 특성 264
5. 평생교육의 영역 267
6. 평생교육의 과제 및 전망 269
14장 한국교육사회학의 미래 전망과 과제 277
1. 교육사회학의 미래 전망 278
2. 한국교육의 미래 과제 287
찾아보기 291
■ 나 항 진
중앙대학교 교육학과 졸업(학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졸업(석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졸업(박사)
전,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겸임교수중원대학교 사회과학부 교수
대표 저서 및 논문 : 성인학습 및 상담(2012, 양서원)평생교육론(2011, 양서원), 신교육학개론(2008), 노년교육 활성화를 위한 정의론적 탐색(2010) 외 다수
■ 김 경 수
중앙대학교 교육학과 졸업(학사)
중앙대학교 대학원 졸업(석사, 박사)
현, 선문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대표 저서 및 논문 : 평생교육론(2011, 양서원), 신교육학개론(2008), 에니어그램성격유형(공역)(2010), U-러닝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정책에 관한 연구(2007) 외 다수
■ 박 성 희
독일 게오르그 아우구스트 괴팅겐 대학교 교육학과 졸업(학사, 석사, 박사)
전, 대진대학교 교직부 초빙교수, 강원대학교 교수학습개발원 연구교수공주대학교 사범대학 교육학과 BK21 교육복지연구역량강화사업팀 연구교수
현, 국립공주대학교 사범대학 외래교수
대표 저서 및 논문 : 평생교육론(2013, 양서원), 성인학습 및 상담(2012, 양서원), 질적연구 방법의 이해(2004), 청소년 가해자의 생애사 재구성을 통한 학교폭력 예방 방안(2015) 외 다수
■ 박 영 미
중앙대학교 대학원 졸업(석사, 박사)
현, 남서울대학교 외래교수
대표 저서 및 논문 : 평생교육론(2011, 양서원), 고등교육 인적자원 개발 정책에 관한 연구(2002), 유치원 취원 유아 수 팽창에 관련된 제 변인 분석(2000) 외 다수
■ 신 정 혜
숙명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 졸업(학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졸업(석사)
컬럼비아 대학교 티쳐스 컬리지 졸업(박사)
현, 숙명여자대학교, 숭실대학교 외래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