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정보


정신건강론 -제2판-

저자박선환 박숙희 이주희 정미경 김혜숙

  • 발행일2017-02-20
  • ISBN978-89-994-0659-1 (93330)
  • 정가19,000
  • 페이지수416
  • 사이즈4*6배 변형

도서 소개

☞ 2판 3쇄 : 2022-02-25

☞ 2판 2쇄 : 2018-08-30

☞ 2판 1쇄 : 2017-02-20

☞ 1판 10쇄 : 2014-07-10

☞ 1판 1쇄 : 2008-03-05

 

 

| 머리말 |

2008년 3월 초판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많은 분들이 본 저서에 관심을 보여주시고 소중한 충고와 조언을 해주시는 등 고견을 주심에 진심으로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최근 적응곤란, 정신과적 문제로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하는 경우가 점점 늘어나고 있으며, 전 발달단계에 걸쳐 정신질환자의 비율이 증가하면서 정신건강에 대한 관심도 이전에 비해 훨씬 높아졌다. 국민의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지역구마다 정신건강증진센터가 운영되고 있으며, 교육부는 학생들의 건강한 정서ㆍ행동발달을 지원하기 위해 학생정신건강증진협의체를 구축ㆍ운영하고 있다.
지난 8년여 동안 정신건강과 관련하여 주요 원리나 이론 등이 크게 달라지지는 않았지만 그동안 정신질환을 진단·평가하는 DSM-5R○이 새로이 출간되어 기존의 관점 및 접근 등에 다소 변화가 있었고, 우리 사회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제2판에서는 초판의 총 6부, 10장으로 구성된 틀을 유지하되 이러한 학문적·시대적 흐름과 독자 분들의 고견을 반영하여 새롭게 제안·검증된 내용과 최신 자료들을 보완하는 데 역점을 두었다. 초판과 비교하여 수정 및 보완된 내용들을 간략히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장 정신건강의 의미에서는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뇌의 생리적 기능을 보완하였으며, 4장 정신건강과 적응에서는 스트레스 대처유형과 대처전략을 보완하였다. 6장 가정에서의 병리문제에서는 이혼가족뿐만 아니라 최근 우리 사회에 점점 많아지고 있는 다양한 가족형태(한부모가족, 재혼가족, 조손가족, 다문화가족)를 추가하여 포괄적으로 다루었으며, 7장 청소년기 병리문제에서는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스마트폰 중독과 자살을 추가하여 심층적으로 다루었다. 8장 유아ㆍ아동ㆍ청소년기의 이상행동과 9장 성인기의 이상행동에서는 최근 발간된 DSM-5R○을 토대로 전반적으로 재구성하여 수정 및 보완이 이루어졌다. 10장 심리치료에서는 인지행동치료법과 현실치료법, 심리극을 추가하여 보다 심도 있게 다루고자 하였다.
저자들로서는 각고의 노력으로 나온 책이지만 부족한 부분에 대해서는 앞으로도 독자 여러분의 아낌없는 충고와 조언을 기대한다. 끝으로 제2판이 나올 수 있도록 격려와 고견을 주신 독자 여러분과 양서원 박철용 회장님 이하 관계 직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의 마음을 전한다.

2017년 2월
저자 일동


| 차 례 |

제1부 정신건강의 이해

제1장 정신건강의 의미 13
1. 정신건강의 개념 13
1) 정신건강의 개념 13
2) 정신건강의 조건 17
2. 건강과 이상 20
1) 통계적 관점 21
2) 임상적 관점 22
3) 사회ㆍ문화적 관점 23
3. 정신건강의 기초 23
1) 정신건강의 생리적 기초 23
2) 정신건강의 심리적 기초 27
3) 정신건강의 환경적 기초 35
4. 정신건강론의 성립과정 37
1) 정신건강론의 탄생기 37
2) 정신건강론의 형성기 37
3) 정신건강론의 확립기 38
4) 한국 정신건강론의 역사 40

제2부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

제2장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개인 내적 요인:
유전적, 신체적 및 심리적 요인 47
1. 유전적 요인 47
2. 신체적 요인 49
3. 심리적 요인 51
1) 성격과 정신건강 51
2) 자아개념과 정신건강 70

제3장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개인 외적 요인:
가족, 학교, 사이버 환경, 물리적 환경, 종교, 그리고 스트레스 73
1. 가족 73
2. 학교 74
3. 사이버 환경 75
4. 물리적 환경 76
5. 종교 77
6. 스트레스 80
1) 스트레스의 개념 80
2) 스트레스의 발생원인 83

제3부 적응과 대처

제4장 정신건강과 적응 91
1. 적응 91
1) 적응의 정의 91
2) 일상생활에서의 적응 93
3) 적응지도-긍정적 자아개념 형성 94
2. 스트레스 대처양식 96
1) 문제집중적 대처 97
2) 정서집중적 대처 100
3) 문제-정서 혼합대처 101

제5장 정신건강과 대처방법 109
1. 방어기제 109
1) 방어기제의 특성 109
2) 방어기제의 종류와 역할 110
2. 일상생활에서의 대처방법 115
1) 신체운동 115
2) 이완훈련과 명상 120
3) 적절한 자기주장과 효과적으로 거절하기 126

제4부 현대사회의 병리

제6장 가정에서의 병리문제 139
1. 가정폭력 139
1) 가정폭력의 개념 139
2) 가정폭력의 실태 140
3) 가정폭력 발생의 원인 143
4) 가정폭력의 형태 147
5) 가정폭력에 대한 대책 152
2. 다양한 가족 156
1) 이혼가족 156
2) 한부모가족 166
3) 재혼가족 172
4) 조손가족 176
5) 다문화가족 184

제7장 청소년기 병리문제 195
1. 학교폭력 195
1) 학교폭력의 정의 196
2) 학교폭력의 특징 및 경향 196
3) 학교폭력의 실태 197
4) 학교폭력의 유형 199
5) 학교폭력의 발생 원인 200
6) 학교폭력에 대한 대책 200
7) 학교폭력 대처 프로그램 205
2. 집단따돌림 211
1) 집단따돌림의 정의 211
2) 집단따돌림의 실태 212
3) 집단따돌림의 유형 213
4) 집단따돌림의 종류 214
5) 집단따돌림의 원인 214
6) 집단따돌림의 대처방안 217
7) 집단따돌림의 예방방법 217
3. 인터넷 중독 221
1) 인터넷 중독의 개념 221
2) 인터넷 중독 분류 222
3) 인터넷 중독의 실태 224
4) 스마트폰 실태 228
5) 인터넷 중독 원인 231
6) 중독 대응기반 구축 및 인프라 조성 233
4. 자살 235
1) 자살의 정의 235
2) 자살의 유형 235
3) 청소년 자살의 실태 236
4) 청소년 자살의 특성 237
5) 청소년 자살의 원인 238
6) 청소년 자살 예방의 문제점 239

제5부 정신건강과 이상행동

제8장 유아·아동·청소년기의 이상행동 247
1. 이상행동이란 247
2. 이상행동의 분류 249
3. 유아ㆍ아동ㆍ청소년기의 이상행동 252
1) 신경발달장애 255
2) 조현병 268
3) 제Ⅰ형 양극성장애 269
4) 우울장애 271
5) 불안장애 273
6) 강박장애 279
7) 반응성 애착장애 280
8) 급식 및 섭식장애 283
9) 배설장애 286
10) 파괴적, 충동조절 및 품행장애 288
4. 임상적 관심의 초점이 될 수 있는 기타 상태 293
1) 학교거절증 293
2) 시험불안 293

제9장 성인기의 이상행동 295
1. 해리장애 296
1) 해리성 정체성장애 296
2) 해리성 기억상실 297
3) 이인성/비현실감 장애 298
2.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 299
1) 신체증상장애 299
2) 질병불안장애 300
3) 전환장애 301
3. 수면-각성장애 302
1) 불면장애 302
2) 과다수면장애 303
4. 성기능부전 304
1) 사정지연 304
2) 발기장애 305
3) 여성극치감장애 305
4) 여성 성적 관심/흥분장애 305
5) 성기-골반통증장애 306
5. 성별 불쾌감 306
6. 물질 관련 및 중독장애 308
1) 물질관련장애 308
2) 알코올관련장애 309
3) 카페인관련장애 310
4) 대마관련장애 311
5) 기타 물질관련장애 311
6) 비물질관련장애 314
7. 신경인지장애 314
1) 섬망 315
2) 주요신경인지장애 316
8. 성격장애 317
1) 편집성 성격장애 318
2) 조현성 성격장애 319
3) 조현형 성격장애 319
4) 반사회성 성격장애 320
5) 경계성 성격장애 320
6) 연극성 성격장애 321
7) 자기애성 성격장애 322
8) 회피성 성격장애 322
9) 의존성 성격장애 323
10) 강박성 성격장애 323
9. 변태성욕장애 324
1) 관음장애 324
2) 노출장애 325
3) 마찰도착장애 325
4) 성적피학장애 325
5) 성적가학장애 325
6) 소아성애장애 326
7) 물품음란장애 326
8) 복장도착장애 326
10. 기타 임상적 관심을 요하는 문제 327
1) 화병 327
2) 만성피로증후군 327
3) 정신신체병 328
4) 관계의 문제 328

제6부 심리치료

제10장 심리치료 333
1. 심리치료의 정의 및 목표 333
2. 기본접근법 334
1) 정신분석 치료법 334
2) 인간중심 치료법 341
3) 인지행동 치료법 348
4) 현실 치료법 355
3. 응용 치료접근법 365
1) 미술치료 365
2) 놀이치료 372
3) 음악치료 383
4) 심리극 390

참고문헌 402

찾아보기 410

저자 소개

■ 박 선 환
E-mail: shpark02@hanmail.net
숙명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 졸업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교육심리 전공)
현, 한국외국어대학교 외래교수, 하연상담교육연구소 객원교수, BSC 자문교수,
한국교육개발원 학교컨설턴트

■ 박 숙 희
E-mail: spark@uhs.ac.kr
숙명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 졸업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교육심리 전공)
한국교육개발원 영재교육연구실 Post-Doc.(한국학술진흥재단 지원)
현, 협성대학교 교수, 한국영재교육학회 편집위원장, 한국창의력교육학회 상임부회장

■ 이 주 희
E-mail: maearee@dsu.ac.kr
숙명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 졸업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상담 및 생활지도 전공)
현, 동신대학교 상담심리학과 교수, 한국여성심리학회 이사

■ 정 미 경
E-mail: mkchung@hknu.ac.kr
숙명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 졸업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학교교육과 교육심리 전공)
한국교육과정평가원 Post-Doc.(한국학술진흥재단 지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교수
Purdue대학교 방문교수
현, 한경대학교 교양학부 교수, 한국교육심리학회 이사, 한국영재교육학회 이사

■ 김 혜 숙
E-mail: ddalkikot@hanmail.net
숙명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 졸업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교육학 박사(교육심리 전공)
성균관대학교 Post-Doc.(BK21)
현, 부산가톨릭대학교 병원경영학과 교수, 한국창의력교육학회 이사,
한국여성심리학회 이사, 한국영재교육학회 이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