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머리말 |
교육은 항상 사회와 관계를 맺는다. 사회도 교육과 관계를 맺는다. 교육과 사회는 불가분의 관계로 ‘교육과 사회는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를 알아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교육사회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교육과 사회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회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사회학(sociology)이란 라틴어 socius(인간의 집단)와 logos(연구)의 합성어로 ‘인간의 집단을 연구하는 학문’이라는 의미이다. 따라서 사회학이란 다양한 특성을 지닌 개인들이 사회라는 조직 속에서 살아가는 방식을 이해하고, 사회적 현상을 설명하며 더 나은 사회를 모색하기 위한 학문이다.
교육학(pedagogy)이란 희랍어 paid(어린이)와 agogos(지도하다)의 합성어로 ‘어린이를 가르치기 위한 학문’이라는 의미이다. 교육학은 교육행위와 관련된 내용과 교육현상과 관련된 내용을 학문적으로 연구하여 이를 이론적인 체계로 종합한 것이다.
교육사회학이란 사회학과 교육학의 특징을 잘 살려서 ‘교육이 사회와, 사회와 교육이 어떤 관계를 맺고 있는가’를 다양한 관점에서 이해하고 해석하고 설명하는 학문이다. 사회를 보는 관점은 거시적 접근과 미시적 접근이 있다. 거시적 접근의 경우 개인보다 집단을, 미시적 접근의 경우 집단보다 개인을 중요시한다. 교육사회학의 주요 이론은 기능주의 이론과 갈등주의 이론은 사회를 거시적 접근으로 보고, 해석학이나 신교육사회학, 교육과정사회학의 경우 사회를 미시적 접근으로 본다.
기능주의 이론은 사회를 긍정적으로 해석하고, 교육도 좋은 것으로 해석한다. 기존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교육이 필요하다. 여기에서 ‘~답게 철학’이 나온다. 교사는 교사답게, 학생은 학생답게, 농민은 농민답게, 상인은 상인답게, 정치인은 정치인답게 행동한다면 사회질서가 유지될 수 있다.
갈등주의 이론은 현재 사회를 부정적으로 보며 교육은 지배집단의 경제·문화·이념 등을 재생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다. 즉, 교육은 좋지 않은 것이다. 왜냐하면 지배집단을 재생산하기 위한 수단으로 학교와 교육이 이용되기 때문이다.
해석학에서는 개인적인 자율성을 중시하는데, 개인이 교육을 어떻게 바라보고 해석하느냐가 중요하기 때문에 교사의 자율성이 강조된다. 신교육사회학과 교육과정사회학은 가르치는 내용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교육과정(curriculum)을 분석하여 그 교육과정을 왜 가르쳐야 하는지 분석한다.
이 책은 이상과 같은 내용을 중심으로 하여 총 8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장을 시작할 때 그 장의 학습개요·학습목표·학습과제를 제시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학습내용과 관련된 사전 OX 퀴즈도 마련하였다. 또한 본 내용을 시작하기 전 학습자들에게 충분한 학습동기를 유발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문 중간에 ‘생각해 보기’를 마련하여 교육내용과 관련된 시사성 내용이나 사례를 통해 교육내용의 폭과 깊이를 더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마지막 장에는 학습내용을 정리하여 한 장을 시작할 때부터 마무리할 때까지 전체 내용에 대하여 끊임없이 폭과 깊이를 더해 가는 나선형교육과정(spiral curriculum) 형태로 내용을 구성하였다. 한 장을 다 읽으면 자연스럽게 그 장의 교육내용이 이해될 것이다.
이 책은 교육을 통해서 자신의 삶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교육사회학 내용을 구성하였다. 그래서 책 제목을 『삶은 교육사회학』이라고 명명하였다. 삶에는 인생이란 의미, 삶았다는 의미, 사람이란 의미 등 여러 가지 뜻이 있다. 이 책은 사회에서 인생의 참의미를 깨닫게 하고 이론뿐만 아니라 실제 삶의 현장을 녹여 개인적인 삶에 적용해 볼 수 있게 썼다. 또한 삶에는 사람이란 뜻도 있다. 이 책은 사람 냄새 나게 쓴 책이다. 독자들이 맛있게 읽고 튼튼하게 성장하기 바란다.
2017년 3월
삶은 교육학자 윤옥한
| 차례 |
머리말
Chapter 01_ 교육사회학 이해
1-1. 교육사회학을 공부해야 하는 이유?
1-2. 교육사회학이란 무엇인가?
1-3. 교육사회학 이론의 전개
1-4. 교육사회학의 발달
1-5. 교육사회학 연구 영역
학습정리
Chapter 02_ 기능주의 이론의 사회관과 교육관
2-1. 기능주의 이론의 구조와 기능 이해
2-2. 기능주의 이론의 전개
2-3. 기능주의 이론의 사회관
2-4. 기능주의 이론과 갈등주의 이론의 사회관 비교
2-5. 기능주의 이론의 현대 산업사회에 대한 입장
2-6. 기능주의 이론의 교육관
2-7. 사회화에 대한 기능주의 사회학자들의 입장
2-8. 뒤르켐의 도덕교육론
2-9. 기능주의의 하위 이론
2-10. 기능주의 이론의 비판
학습정리
Chapter 03_ 갈등주의 이론의 사회관과 교육관
3-1. 갈등 이해
3-2. 갈등관리 스타일 진단
3-3. 갈등주의 이론의 등장 배경
3-4. 갈등주의 이론의 사회관
3-5. 갈등주의 이론의 교육관
3-6. 갈등주의 이론에 대한 학자들의 견해
3-7. 갈등주의 하위 이론
3-8. 갈등주의 비판
학습정리
Chapter 04_ 해석학적 접근 사회관과 교육관
4-1. 해석학 이해
4-2. 해석학적 접근의 특징
4-3. 해석학적 접근유형
학습정리
Chapter 05_ 신교육사회학과 교육과정사회학
5-1. 지식사회학 이해
5-2. 신교육사회학 이해
5-3. 신교육사회학 특징
5-4. 교육과정사회학
5-5. 번스타인의 교육과정 분석
학습정리
Chapter 06_ 교육과 문화
6-1. 교육이란 무엇인가?
6-2. 교육의 목적
6-3. 문화란 무엇인가?
6-4. 문화변화와 교육
6-5. 사회화와 교육
학습정리
Chapter 07_ 사회계층과 교육의 평등
7-1. 사회집단의 의미와 분류
7-2. 사회조직의 의미와 특징
7-3. 관료제 조직의 특징과 역기능
7-4. 계급과 계층 이해
7-5. 사회계층 차이에 따른 교육기회의 불균등
7-6. 교육평등 개념의 변화
7-7. 교육평등관
학습정리
Chapter 08_ 사회변동과 현대사회의 문제
8-1. 사회변동
8-2. 사회변동 원인
8-3. 사회변동 이론
8-4. 학교의 팽창
8-5. 사회문제의 성격
8-6. 사회문제를 보는 시각
8-7. 사회문제의 분류
8-8. 일탈
학습정리
참고문헌
찾아보기
■ 윤 옥 한
교육학 박사, 국민대학교 교육학과 교수
주요저서
괜찮은 나 만들기(1996), 대인관계 Q(1997),
능력 있는 나 만들기(1999), 자신 있게 만나라 (2002),
명강의 교수법(2008), 괜찮은 나우리 만들기(2012),
평생교육 프로그램 개발론(2013),
평생교육프로그램개발이론과 실제(2017),
평생교육방법론(2017) 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