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 상세정보


영화로 읽는 인간과 삶

저자정미숙 가톨릭관동대학교 평생교육체제지원사업단

  • 발행일2021-02-25
  • ISBN978-89-994-1124-3 (93330)
  • 정가17,000
  • 페이지수252
  • 사이즈4*6배 변형
  • 제본무선

도서 소개

 

☞ 1판 1쇄 : 2021-02-25

 

프롤로그

 

영화는 영상과 소리로 이야기를 전달하고, 스펙터클한 극적 이미지로 우리의 감각과 정서에 호소한다. 영화감상은 감독의 말걸기에 어떠한 형태로든 반응을 보이는 것과 다르지 않다. 감독이 던져놓은 재미와 흥미를 통해서 관객은 자신의 삶과 세계를 발견하기도 한다. 니체가 독서를 낯선 학문과 낯선 영혼들 속으로 산책할 수 있는 여행으로 표현했던 것처럼, 오늘날 영화감상은 감독이 보는 현실에 대한 관념을 통해서 지금 우리의 모습을 발견하고 탐색할 수 있는 여행과 다르지 않다.

문자나 언어가 다루는 이야기처럼 영화 역시 일상과 평범함 속에서 드러나는 인간의 본질과 본성뿐 아니라 그 속에 숨겨져 있는 욕망을 드러내고, 극적 갈등을 통해서 인간의 깊은 내면과 다양한 감정을 드러낸다. 그곳에서 우리는 시공을 초월한 역사와 문화 속 인간과 삶의 모습을 발견하고 탐구할 수 있다.

이 책은 다양한 영화 작품감상을 통해서 지금 우리의 모습을 발견하고 나를 돌아볼 수 있는 적극적인 감상의 기회를 공유하려고 한다. 이 교재는 형식적으로는 15주 수업으로 구성하였다. 내용은 영화감상에 주목하기 위해 시네마 리터러시를 중점으로 한다. 먼저 영화에 대한 이해로써 1주부터 3주까지는 영화탄생의 문화적 의미와 영화 구성요소와 미학적 요소에 주목하고 있다. 4주부터는 시네마 리터러시 사례로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감독의 거울과 알렉산드르 소쿠로프 감독의 암피르를 살펴본다. 5주는 영화산업의 주류인 장르 영화에 대한 이해를 살펴본다.

6주는 알렉산드르 소쿠로프 감독의 어머니와 아들과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감독의 희생 속 장면을 살펴본다. 7주부터는 가족, 사랑, 인간, 배려, 집착, 분노, 욕망 등 7개의 키워드로 시네마 리터러시 사례를 다룬다. 몇 부분은 키워드의 의미찾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명언을 인용하였다. 예를 들어 영화 속 가족에 대한 리터러시에서는 멜로드라마를 학습하고 가족의 의미 찾기 명상의 글을 인용하였다. 특히 시네마 리터러시의 사례 작품으로는 필자의 논문과 책에서 인용한 작품으로 클라우드 아틀라스, 블레이드 러너, 시간, 사랑과 어둠의 이야기 등이 있다. 이 작품들은 비교적 대중적인 접근이 쉽지 않은 작품이다. 관객들이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작품 읽기 사례를 교재에 남김으로써 어려운 영화에 대한 쉬운 접근을 경험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차례

 

1. 영화 탄생의 의미

영화 탄생의 배경

영화 탄생의 의미

영화 탄생의 문화적 의미

 

2. 영화란 무엇인가?

영화의 구성요소 - 영상, 소리, 스토리

영화의 미학적 요소

영화언어

영화란 무엇인가?

 

3. 시네마 리터러시란?

초창기 예술로서의 영화

내러티브란?

시네마 리터러시란 무엇인가?

사례 영화 감상

 

4. 영화관람

영화감상과 영화적 체험

영화 장면 리터러시

영화 속 권력에 관한 리터러시 사례

 

5. 장르영화

장르영화란 무엇인가?

장르영화의 특성

장르영화의 내적 요소

 

6. 시네마 리터러시 1 영화 장면 읽기

미장센 공간구성에 대하여

영화 속 미장센 사례

영화 속 장면 리터러시

 

7. 시네마 리터러시 2 영화 속 가족

멜로드라마란 무엇인가?

영화 속 가족

가족의 의미 찾기

 

8. 중간합평

저자 소개

정미숙

영화는 타국에서 지치고 힘든 나에게 유일한 위로였다. 어렵고 힘든 대학원 시절이었지만 전공을 즐길 수 있었던 것은 내게 행운이었다. 영화 속 이야기는 인간과 삶을 성찰할 수 있었고 영감을 떠올릴 수도 있었다. 이야기가 다루는 욕망과 갈등은 인간을 이해하고 삶을 인내할 수 있는 힐링 처럼 다가왔다. 영화를 보면서 10대 시절 영문도 모르고 읽으며 혼자만의 감동으로 빠져있었던 시와 소설에 대한 기억을 소환하기도 했다. 그런 과정이 반복되면서 영화는 자연스럽게 인간에 대한 성찰과 세상과 삶에 대한 탐구로 연결할 수 있었다.
동국대학교 연극영화학과를 졸업하고, 모스크바에 있는 러시아 국립영화대학에서 영화학을 전공하였다. 저서로는 이야기 속 이야기, 영화 속 인문학 이야기, 공저로 알렉산드르 소쿠로프 : 폐허의 시간 외 영화와 연기예술에 대한 논문이 다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