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판 1쇄 : 2021-06-10
머리말
본 교재는 오랜 기간 사회복지기관과 학계에 근무하고 있는 전문가들이 사회복지현장실습지도를 하면서 느낀 학생(실습생)들과 실습기관의 고충을 해결하고자 만든 저서입니다.
이 책을 간략히 소개하면
첫째, 사회복지사 자격제도의 변화
둘째, 사회복지실습 기관 소개 및 개념 정리
셋째, 각종 서식 및 예시
넷째, 사회복지사 자격증 발급 절차
다섯째, 실습교육과 지도를 할 때 활용하면 좋은 자료들까지 엮어서 실습지도자와 실
습생 모두에게 유익하도록 구성하였습니다.
이 책에 예시글이 실릴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해 주신 충북보건과학대학교 복지행정학과 김범제 선생님,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이인규, 노은정, 최유라, 윤수진 선생님께 깊은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아무쪼록 이 책과 함께 사회복지현장실습을 진행함으로써 실습기관, 실습생, 학교(실습교육기관), 실습지도 교수님들께 도움이 되면 좋겠습니다.
2021년 6월
저자 일동
차례
머리말
Part 01 2020년 이후 사회복지사 자격제도
제1장 사회복지현장실습 변화의 필요성
1. 사회복지사 자격제도의 역사
2. 기존 사회복지사 자격제도의 문제점과 변화의 원인
제2장 사회복지현장실습 기준
Part 02 사회복지현장실습의 개요
제1장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일반적 개념
1. 의의
2. 목적
제2장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주요 내용
1. 의의
2. 실습 내용
제3장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유의사항
1. 유의사항
Part 03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진행 절차
제1장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진행 절차
Part 04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주체
제1장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주체
1. 실습생
2. 실습기관
3. 학교(실습교육기관)
제2장 사회복지시설의 종류
제3장 사회복지현장실습기관의 유형
1. 아동복지시설
2. 노인복지시설
3. 장애인복지시설
4. 정신건강증진시설
5. 노숙인복지시설
6. 사회복지관
7. 기타복지시설
Part 05 사회복지현장실습 주체의 역할
제1장 실습생 측면
1. 실습생의 역할
2. 실습생의 권리
제2장 실습기관 측면
1. 실습기관의 요건
2. 실습기관의 역할
3. 실습지도
4. 실습지도자
제3장 학교(실습교육기관) 측면
1. 학교(실습교육기관)의 요건
2. 학교(실습교육기관)의 역할
3. 실습지도교수의 역할
Part 06 사회복지현장실습의 진행 절차
제1장 실습생 측면에서의 진행 절차
1. 실습 전 해야 할 일
2. 실습 중기에 해야 할 일
3. 실습 종료 후 해야 할 일
제2장 실습기관 측면에서의 진행 절차
1. 실습 전 해야 할 일
2. 실습 초기에 해야 할 일
3. 실습 중기에 해야 할 일
4. 실습 말기에 해야 할 일
5. 실습 종료 후 해야 할 일
제3장 학교(실습교육기관) 측면에서의 진행 절차
1. 실습 전 해야 할 일
2. 실습 중 해야 할 일
3. 실습 종료 후 해야 할 일
Part 07 사회복지사 자격증 발급과정
제1장 사회복지사 자격증 발급과정
1. 사회복지사 자격증 발급과정
2. 사회복지사 자격증 발급 신청 구비서류
3. 자격증 신청 지회 연락망
4. 사회복지사 결격사유(※근거법령: 「사회복지사업법」제11조의2)
부록
1. 초기인테이크지(아동용)
2. 프로그램계획서
3. 프로그램 일지
4. 프로그램 평가서(이용자용)
5. 프로그램 평가서(종사자용)
6. 공문수신대장
7. 공문발신대장
8. 공문작성
9. 수입결의서 연습용
10. 지출결의서 연습용
참고문헌
서정순
∙ 충북보건과학대학교 평생교육원 실습지도교수
∙ 청주YMCA 부설 파랑새지역아동센터 센터장
김정일
∙ 우송정보대학교 사회복지과 겸임교수
∙ 드림인아동청소년연구소 소장
∙ 전) 충북보건과학대학교 청소년문화복지과 교수
김현진
∙ 청주대학교 사회복지학전공 교수
∙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이사
∙ 충청북도사회복지사협회 부회장
조우홍
∙ 서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 K교육연구학회 회장
∙ 한국행정복지학회 부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