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청소년복지론은 사회복지영역의 청소년 분야이자, 청소년 영역의 사회복지 분야의 과목입니다. 사회복지학과 청소년학을 전공하는 학생들을 위한 기초적인 지식을 쌓는 과목으로서 기본적인 지식과 실천기술 등을 담아내는 데 노력하였습니다.
본서는 각 분야별 전문가별로 전문지식과 경험을 바탕으로 집필되었습니다. 본서는 청소년을 이해하는 관점, 청소년발달의 특성과 더불어 청소년문제, 청소년발달을 위한 정책 및 실천기술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전 세계적인 경기 침체와 더불어 한국 사회는 저출산ㆍ고령화, 양극화 현상 및 인구감소 등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무엇보다도 지역갈등, 성별갈등뿐 아니라 세대갈등이 더욱 심화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에 청소년복지 역시 사회ㆍ경제적 변화에 따라서 개념 정의, 개입의 관점과 정책 목적 및 목표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본서가 청소년, 청소년문제와 청소년문제의 복지적 개입에 대하여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할 수 있는 지식적 토대를 마련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이에 따라서 예비 사회복지사 또는 예비 청소년지도사로서 청소년 대상에 대한 이해가 확대되길 바라며 전생애발달단계 관점에서 청소년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하여 어떠한 역할이 필요한지 고민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바랍니다.
청소년을 포함하여 모든 사람이 더불어 행복하게 살길 바라며
2025년 2월
저자 일동
차례
머리말
Chapter 01 청소년의 이해
1. 인간의 생애와 청소년기
2. 청소년의 범주와 개념
3. 청소년 현황
4. 게임과 청소년
Chapter 02 청소년의 발달 특성 및 환경
1. 영역별 발달 특성
2. 시기별 발달 특성
3. 청소년의 다차원적 발달
4. 청소년에 대한 접근방식
5. 청소년의 환경
Chapter 03 청소년과 사회문제
1. 청소년과 빈곤
2. 청소년과 학교폭력
3. 청소년과 성
4. 청소년과 자살
5. 청소년과 약물남용
Chapter 04 청소년복지의 이해
1. 청소년복지란
2. 청소년복지의 발전과정
3. 청소년복지의 목적과 목표
4. 청소년복지의 특성
5. 청소년복지의 원칙
6. 청소년복지 실천의 관심 영역
7. 청소년복지의 의의
Chapter 05 청소년복지 관련 이론적 접근
1. 발달적 접근
2. 사회적 환경 접근
3. 생태학적 접근
4. 사회적 포용 접근
5. 문제 중심 접근
6. 강점 기반 접근
7. 기능주의적 접근
8. 갈등주의적 접근
9. 권리 중심 접근
10. 정의론적 접근
Chapter 06 청소년복지 관련 법
1. 청소년복지 관련 법의 범위와 체계
2. 헌법
3. 청소년기본법
4. 청소년복지지원법
5. 청소년보호법
6. 아동ㆍ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
Chapter 07 청소년복지 정책과 행정
1. 청소년복지정책
2. 청소년복지 서비스전달체계
Chapter 08 청소년의 참여와 진로
1. 청소년의 진로
2. 청소년의 진로 관련 현황
3. 진로발달을 위한 청소년활동과 진로교육 및 진로체험
4. 청소년 참여 주도 진로 설계
Chapter 09 청소년 정신건강
1. 정신건강의 개념
2. 청소년의 정신건강 실태
3. 청소년의 정신건강 요인
4. 청소년의 정신건강문제
5. 청소년 정신건강사회복지의 실천
6. 청소년 정신건강문제의 개입방안 및 방향
Chapter 10 청소년 인권
1. 청소년 인권의 개념과 특징
2. 청소년 인권의 역사와 발달
3. 우리나라 아동ㆍ청소년의 인권 실태
4. 소외 청소년의 인권문제와 개선방향
5. 한국 청소년 인권의 발달과제
Chapter 11 문화 다양성과 청소년복지
1. 문화 다양성의 정의
2. 청소년복지에서 문화 다양성의 중요성
3. 청소년복지에서 문화 다양성 접근 방안
4. 문화적 민감성 요구
5. 문화적 역량 강화
6. 청소년복지에서 문화 다양성의 도전 과제
Chapter 12 글로벌청소년복지
1. 글로벌청소년복지의 개념 및 범주
2. 글로벌청소년복지의 주요 내용
Chapter 13 청소년과 사이버복지
1. 사이버공간의 특성
2. 사이버복지의 필요성
3. 청소년과 사이버복지의 주요 이슈
4. 사이버복지 실천전략
Chapter 14 청소년복지의 현황과 개선과제
1. 청소년복지의 과제
2. 청소년복지의 개선 방향
참고문헌
찾아보기
박선혜
이화여자대학교 소비자인간발달학 학사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석사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박사 / 미 Indiana University, School of Social work 박사과정 수학
서정대학교 사회복지상담과 조교수/학과장
전) 보건복지부 사회서비스자원과 연구원
기은광
서울대학교 생활과학대학 학사, 석사, 박사
서정대학교 사회복지상담과 부교수/학부장
현) 국회입법지원위원
조민식
고려대학교 사회학과 학사, 석사, 박사
서정대학교 휴먼케어서비스과 조교수/학과장
현) 성남시청소년재단 비상임이사
김학재
건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 박사
서정대학교 글로벌융합복지과 조교수/학부장
현) 사회적협동조합 양주도우누리 이사
문은순
서울한영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 박사
상명대학교 복지상담대학원 상담학 석사
서정대학교 사회복지상담과 조교수
국제성모병원 호스피스병동 미술심리상담사
정인숙
신한대학교 사회복지학 석사, 박사 졸업
서정대학교 글로벌융합복지과 조교수
한국사회복지역사학회 홍보위원장
김수영
서울시립대학교 사회복지학과 박사
(사)글로벌청소년센터 대표
현) 경희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겸임교수 / 이주배경청소년지원재단 비상임이사